주먹도끼부터 알아가는 한국사/조선전기(89)
-
허준의 동의보감이 세계 기록 유산이 된 이유
“동방의 나라인 우리의 서적이 중국에서 출판된 것이 극히 드문데 유독 동의보감 25권은 중국에서 출판되어 아주 인기가 높으며 판본도 정묘하다. …… 나는 집에 좋은 의학서적이 없어 매양 병이 나면 동네 사방을 찾아 책을 빌려보았는데 지금 이 책을 보니 구하고 싶은 생각이 간절하나 은전 닷 냥이 없어서 사지 못한 채 섭섭히 돌아왔으나 중국판에 나와 있는 능어의 서문을 베껴서 후일의 참고가 되게 하고자 한다. ” 이 글은 박지원이 중국에 갔다 오면서 쓴 저서인 『열하일기』 중 일부로 중국에서 간행되고 있다는 동의보감에 대한 구절입니다. 동의보감은 중국에서 꽤나 인기 있던 서적이었는데 무려 20여 차례 인쇄된 것입니다. 동의보감은 일본에도 전해져 편찬되기도 했습니다. 동의보감이라는 의학서, 그럼 동의보감이라는..
2022.10.25 -
겸재 정선의 인왕제색도와 금강내산전도
‘평화’(라틴어: pax)와 ‘기도하고 일하라’(라틴어: ora et labora)를 모토로 내세운 성베네딕도회가 1920년대 초 조선에 수도원을 세웠으며 당시 이 곳의 설립자는 노르베르트 베버였습니다. 1911년 조선에 처음 방문한 노르베르트 베버는 조선의 사회와 풍습을 체험하며 배워갔습니다. 이러한 경험으로 그는 『고요한 아침의 나라에서』라는 책을 발간했습니다. 이 책에 노르베르트 베버는 수많은 사진과 기록을 이 책에 담았는데 당시 조선은 일본에게 강탈당했기 때문에 언제 이들의 풍습과 문화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생각에 기록해두었다고 합니다. 이렇게 노르베르트가 조선에 왔을 당시에는 아시아보다 유럽의 문화가 우위에 있다는 생각이 자리잡았던 시기였습니다. 하지만 노르베르트는 그런 오만한 시선으로 조선을 바..
2022.10.24 -
석빙고에 단긴 건축과학과 그에 따른 백성들의 고충
지금은 얼음은 집에서도 냉장고를 열면 흔히 볼 수 있는 것들이지만 100여 년 전까지만 해도 달랐습니다. 얼음을 사용한다는 것은 그 사람의 지위와도 연결되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적어도 삼국시대부터 얼음을 저장하여 다음 해 여름에 쓰도록 했습니다. 『삼국사기』에서는 505년(지증왕 6) 11월에 처음으로 소사(所司)에 명해 얼음을 저장하도록 했다는 기록이 있으며 얼음을 저장하고 이를 관리하는 빙고전이라는 기구도 있었습니다. 고려시대에도 겨울에 얼음을 저장하여 여름이 다가올 때 즈음이면 관리들에게 나누어주었다고 하며 민간인의 장빙은 금지되었습니다. 그런데 1243년 최의가 백성들을 동원하여 빙고에 얼음을 저장하기도 했습니다. 조선시대에는 수도 한양에 동빙고와 서빙고를 만들어 얼음을 보관했으니 동빙고에는 국..
2022.10.23 -
조선의 이단아 허균 그가 홍길동전을 지었나.
“그는 천지간의 괴물이다. 그 몸뚱이를 찢어 죽여도 시원치 않고 그 고기를 씹어먹어도 분이 풀리지 않을 것이다. 그의 일생을 보면 악이란 악은 모두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평가를 조선의 인물은 누구일까요. 엄청난 악당인 것처럼 묘사한 이 문장 속 주인공은 의외로 허균입니다. 허균은 최초의 한글소설 의 저자로 알려져 있습니다. 어쩌면 우리에게는 조선시대의 문학가로 더 알려져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실제로 그는 글을 잘 짓기도 했습니다. “오직 문장의 재주로 세상에 용납되었다.”-선조실록- “허균은 문재가 극히 높아 붓만 들면 수천 마디를 써냈다. -광해군일기- 그가 얼마나 글을 잘 지었는지 알려주는 대목입니다. 그는 명나라에서 사신이 오면 그들을 맞이하고 했습니다. 당시는 창외교라 하여 시를 주고 받으며..
2022.10.22 -
오즈에 강항 현창비가 세워진 이유
강항은 1567년 전남 영광군에서 불갑면에서 태어난 학자로 호가 수은이었기 때문에 강수은으로 더 많이 알려졌습니다. 22세에 진사가 된 학자로 성혼을 스승으로 모시며 26세에 전쟁을 겪었습니다. 그 다음해에는 문과에 급제하였고 조선과 일본 사이에 화평회담이 개최되어 일본군은 경상도 남해안으로 물러가고 전쟁은 소강상태로 접어들었습니다. 그는 임진왜란 기간 동안 식량과 무기를 모아 의병 진영에 보내기도 하였습니다. 이후 그는 형조좌랑에 올랐는데 벼슬은 법무부계장에 해당하는 직책이었습니다. 그리던 1597년 정유재란이 일어납니다. 남원에 양원이 지휘하는 명나라 군사 3천명과 전라병사 이복남이 지휘하는 우리 군사 2천명이 있었습니다. 강항은 조정의 명령을 받고 호조 참판 이광정의 종사관으로 군량수송업무에 참여하..
2022.10.21 -
일본장수 사야가는 왜 김충선이 되었나.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났습니다. 그리고 일본군이 도착한 부산에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 담긴 벽보들이 나붙었습니다. ‘아아. 이 나라 모든 백성들은 나의 이글을 보고 안심하고 직업을 지킬 것이며 절대로 동요하거나 떨어져 흩어지지 말라, 지금 나는 비록 다른 나라 사람이고 선봉장이지만, 일본을 떠나기 전부터 이미 마음으로 맹세한 바 있었으니, 그것은 나는 너희의 나라를 치지 않을 것과 너희들을 괴롭히지 않겠다는 것이었다. 그 까닭은 내 일찍이 조선이 예의의 나라라는 것을 듣고 오랫동안 조선의 문물을 사모하면서 한 번 와서 보기가 소원이었고, 이 나라의 교화에 젖고 싶은 한결 같은 나의 사모와 동경의 정은 잠시도 떠나본 적이 없었기 때문이다.’ 이 글은 적장이었던 일본의 장수가 써 붙인 내용입니다. 선봉장에..
2022.10.20